2003년


2003년에 나는 고등학교로 진학했다. 운 좋게 집 근처의 학교에 다니게 되었는데, 한 학기를 다니다 자퇴했다. 먼저 자퇴 이야기를 꺼낸 것은 나였지만 아무런 미래 계획 없이 그냥 막연하게 음악을 하겠노라고 했던 것 같다. 와스프 공연장에 자주 오는 동갑 친구 중에 학교를 자퇴하고 이미 밴드를 시작한 친구가 있었는데, 아마 그 친구를 보고 나도 그러면 되겠다 싶어서 아무 생각 없이 뱉었던 말이었고 당연히 허락받지 못했다.

막상 부모님이 자퇴를 허락한 것은 고등학교 성적이 불리하게 나올 것을 걱정해 전략적으로 학교를 그만두게 한 것이었고, 실제로도 나는 대다수의 친구들처럼 공부에 자신이 없었다. 그런데 심지어 아무 생각도 없었어서 자퇴를 했다고 음악을 본격적으로 배울 생각도 하지 않았다. 내가 그렇게 계획이 없어서 그랬는지 지금도 그 나이때 앞으로 뭘 하겠다고 마음먹는 사람은 참 대단하게 느껴진다.

자퇴를 하고 바로 재수생 학원에 보내질 예정이었는데 학기중에는 자퇴생을 받는 곳이 없어서 반년 정도 놀아야 했고, 이 때 데모 <길닦음>을 녹음했다. 이 제목은 소설 <태백산맥>에 나오는 전라도 씻김굿의 길닦음에서 가져왔는데, 가사를 문학에서 가져오는 것은 블랙메탈에서는 흔히 사용하는 방법이며 특히 톨킨 세계관에서 가사를 따온 서모닝Summoning으로부터 배워 온 것이다. 어째서 <태백산맥>이냐 하면 워낙 재미있게 읽어서 심취해 있었고 무엇보다도 메탈에 쓰이기 좋은 소재를 다루고 있으며, 베스트셀러였기 때문에 흔한 책이었다. 어느 친구집에 가나 지리산의 빨치산을 다룬 대하소설 <태백산맥>여러 권(혹은 소설 동의보감 상, 중, 하권)이 꽂혀있었다.

이 데모는 이듬해인 2004년에 CDR 100장 정도를 제작해 몇 군데에 발매했는데, 유통하는 과정에서 레이블 없이 자체적으로 정식 발매한 것으로 알려져서 언젠가부터 그냥 정식 발매한 것으로 치기로 했다. 음악은 영화 <태백산맥> 사운드트랙인 김수철의 <산맥>에 영향받아 다소 멜로딕한 것들을 시도했는데, 영 어설펐는지 사람들 반응이 시원찮았다. 아마 첫 앨범만큼의 이야깃거리도 없고 화끈하게 지저분하지도 않아서-예컨대 트루Trve하지 않아서-실망한 모양이었다.


이 해 공연장은 자주 가지 않았지만, 여러 경로로 알게 된 친구들과 인터넷으로 교류하며 놀았다. 이름이 기억 안 나는 상냥한 리스너 아저씨가 있었는데 어떻게 알게 된 스웨덴의 동갑내기 뮤지션을 msn메신저에 초대해서 소개시켜 줬었고, 그 뒤로 가끔 수다떨고 놀았던 기억이 있다. 동네 친구들과 하는 멜로딕데스 밴드에서 기타를 친다던 친구는 국제우편으로 음원도 주고받으며 꽤 오랫동안 알고 지냈었지만 Bjorn이라는 이름이 너무 흔하기도 하고 페이스북으로 친구 관계가 넘어오지 못한 채 영영 끊기고 말았다.

버디버디 메신저의 10대 메탈 리스너 채팅방에서 만난 친구들과 이야기하면서 놀았던 기억도 난다. 이때 만난 친구들과 여름에 아치 에너미Arch Enemy, 닐 자자Neil Zaza, 크래쉬가 출연한 2003년 부산락페에 다녀왔다. 처음으로 본 대형 페스티벌이었지만 공연 자체가 기억에 남지는 않았다. 너무 먼 곳에서 봐서 그런지 잘 들리지도 않았고 엄청나게 덥고 습했으며 그저 최선을 다해 슬램하느라 땀을 많이 흘린 기억뿐이다.

부산에는 아무 계획도 없이 갔었기 때문에 숙소도 없이 다대포 바닷가에서 처음 만난 어느 메탈 동호회 사람들과 밤새 놀다 서울로 돌아왔었다. 느슨하게 주제가 통하는 사람들과 밤새 술 마시며 노는 것이 엄청나게 피곤하지만 또 엄청나게 재밌다는 것을 이 때 처음 알았다. '완전 동안이시네, 몇 살이에요?' '17살이에요' '아 그냥 어린 거구나 엄청 어리네.' 이런 대화가 기억에 남는데, 17살이면 그렇게 놀랄 정도로 어린 거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2002년

 
2002년 여름, 홍대역 부근에 위치한 M레코드에서 앨범을 정식 발매하기로 구두계약을 했다. 앨범을 내준다고 하니 기뻤지만 진짜로 좋아서 내주는건지 아직은 긴가민가 했고 사운드에도 솔직히 자신이 없었다. 처음부터 다시 녹음하는 것이 좋지 않겠냐는 이야기도 있었지만 엄두가 나지 않아서 재녹음은 하지 않았다. 하지만 믹싱도 엉망이었으니 적어도 마스터링은 해야 되었을 텐데 마스터링조차 한 기억이 없다.

단촐한 디자인을 사용해야 사운드에 어울릴 거라고 생각했지만, C사장의 의견대로 고퀄리티의 십자 디지팩을 사용했다. 커버 내부 디자인이 마음에 쏙 들지는 않았지만 전면의 사진이 그럭저럭 괜찮게 느껴졌다. 200장 한정으로 일일이 핸드 넘버링을 달았는데, 넘버링 인증샷이 여러 건 올라오는 등 반응이 나쁘지 않았다. C사장은 레이블 오너 이전에 음반 컬렉터였고, 아마 컬렉터끼리는 서로 원하는 것이 뭔지 잘 알고 있는 모양이다. 

발매가 이루어진 건 그 해 늦가을 즈음이었고, C사장이 Atmospheric Raw Black Metal이라는 장르로 소개하여 상아레코드, 바이하드, 향뮤직 같은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했다. 나는 이 장르에 대해 모르고 있었지만 썩 근사한 이름이었기 때문에 내심 기분이 좋았다. 말하자면 음질은 나쁘지만 분위기는 좋은 블랙메탈이라는 뜻인데 지금 생각해보면 제법 고심해서 정한 장르 이름이다. 

C사장은 좋은 사람이었지만 예의를 표하는 방식에서 서로 차이가 났다. 대화가 종종 매끄럽지 못하게 끝났고 언젠가는 내가 새해 인사를 하지 않아서 무척 섭섭해했다. 나는 '새해 인사를 해야 하는지 몰랐다'라고 이야기했고 그 뒤로는 아마 서로 멋적었는지 연락할 일이 별로 없었다. 새해 인사를 했으면 좋았을텐데 너무 어려서 그런 것도 몰랐고 사실 지금도 새해 인사는 잘 안 하는 편이다. 

발매 얼마 뒤 <핫뮤직>에서 인터뷰 제의가 들어왔다. 익스트림 메탈 전문이었던 A기자와 서교동의 사무실에서 인터뷰를 진행했는데, 다소 너저분했지만 아늑하게 느껴졌으며 왜인지 리믹스라는 과일소주 술병이 많이 보였던 것이 기억난다. 인터뷰때 혼나거나 하면 어쩌지 하고 내심 고민했는데, 다행히도 A기자는 매우 진지한 사람이었고 오히려 내 쪽에서 까다롭지 않을까 걱정했다고 털어놓았다. 어쨌든 음악에 관해 그렇게 진지하게 질문하고 귀담아 들어주는 어른은 처음이어서 신기했고 처음으로 매체에 인터뷰가 실려서 기뻤지만 부모님은 반신반의하며 약간 걱정스러워했다. 

몇 주 뒤 발간된 <핫뮤직> 2003년 1월호를 중학교 졸업 직전 학교에 가져가 자랑했다. 친구가 없었던 건 아니지만 약간 괴짜 취급을 받았었기 때문에 어차피 특이한 녀석이 특이한 일을 했구나 정도의 시큰둥한 반응이었던 것 같다. 앨범에 가장 관심이 많았던 사람은 나를 사물놀이부라는 이유로 예뻐했던 개량한복 차림의 담임선생님이었는데, 발매한 CD를 가져오라고 하더니 점심시간 방송에 틀으라고 지시했고, 음악이 점심 방송으로 잠깐 나오다 금세 끊겼는데 가엾은 방송부원이 CD가 고장난 줄 알고 놀란 나머지 꺼버린 것이었다. 

2002년부터는 홍대의 와스프라는 공연장에 자주 가면서 처음으로 로컬 음악 씬이라는 것을 경험할 수 있었다. 그곳에서는 주말마다 데스파티라는 기획 공연을 했는데 닥썰러지Doxology, 다크 앰비션Dark Ambition, 사혼Sahon 등의 메탈 밴드들이 자주 나왔었고, 아직 유명하지 않았던 바세린Vassline도 본 기억이 있다. 공연 뒷풀이에도 몇 번인가 따라가서 맥주도 조금씩 얻어먹곤 했는데 밴드 멤버들이 젓가락으로 블라스트 드럼을 흉내내고 그로울링을 하면서 노는 것이 인상적이었다. 

계속 공연을 보러 다니며 씬의 일원이 될 수도 있었겠지만, 당시 한국 메탈 밴드들의 문화는 너무나 수직적이었고 '메탈을 하면 일반인으로서의 삶은 버리는 것' 운운의 험악한 분위기가 있었기 때문에 어울리기가 쉽지 않았다. 심지어 한 밴드의 멤버는 공연을 보러 온 어떤 아이한테 사소한 일로 혼쭐을 내주겠다고 화를 내서, 그곳에서 만난 또래 아이들 모두가 지레 겁먹고 그 뒤로는 공연장에 가지 않았다.   

아무튼 이 해에는 공연을 직접 보러 다녔기 때문인지 한국 메탈 밴드들의 음악도 많이 찾아 들었다. 데스파티의 밴드들과 홀리마쉬Holy Marsh, 새드레전드, 마귀Magwi, 도깨비, 니플하임Niflheim 등을 좋아했다. 그 중 마귀를 특히 좋아해서 여름 수련회 장기자랑 때 시디를 가져가 아무 트랙이나 틀어달라 하고 전교생 앞에서 아무렇게나 그로울링을 했었다. 밴드와 공연을 진지하게 하고 싶었지만 메탈씬은 험악했으며 아직은 같이 할만한 친구도 없었고 할 줄 아는 것도 없었다. 



 
 
















2001년

 
2001년에 나는 중학교 2학년이었다. 형의 고등학교 진학 때문에 가족이 다 같이 이사를 갔고, 나도 따라서 전학을 가는 바람에 새 학교에 적응하는 시간이 필요했다. 그래서인지 이 해의 기억은 겨울부터 생각난다. 연초 겨울에 버줌Burzum을 처음 들었던 것 같다. 나는 새로운 음악을 찾아서 듣는 청소년이 아니었다. 형이 듣던 음악을 옆에서 따라 듣고, 시디를 테이프에 복사해서 워크맨으로 듣곤 했다. 그래서 어떤 밴드들은 어떤 경로로 듣게 되었는지 기억이 확실하지 않다. 이것도 2000년 겨울인지 2001년 겨울인지 기억이 가물가물하다.

버줌의 3집 Hvis Lyset Tar Oss를 특히 좋아했다. 백골이 된 나그네가 길가에 누워있고 까마귀들이 그 주변을 날고 있는 회색빛 커버 그림이 아주 근사했다. 테오도로 키텔센 Theodor Kittelsen의 작품들인데, 당시엔 그림의 작가가 누군지 몰랐고 다만 앨범 자켓의 몇 안 되는 단서들을 통해 음악을 상상하며 듣기 좋았다. 뭔가를 처음 녹음한 것도 이 앨범 때문이었다. 명작이지만 단순했고 녹음 퀄리티도 조악했기 때문에, 이 정도면 만들 수 있겠다고 생각한 건지도 모르겠다.

전학을 가기 전, 중학교 1학년 때 같이 음악을 듣던 H라는 친구가 있었다. 이 친구와 함께 학교 근처에 있었던 신중현의 스튜디오에 무작정 찾아갔었다. 놀랍게도 신중현이 직접 레슨하는 코스가 있다고 했다. 여성 제자 둘이서 상담을 해줬고, 희끗한 민머리의 그가 스튜디오 안쪽에 앉아있는 것이 보였다. 나중에 나는 신중현의 음악을 찾아서 듣게 되었지만 이때는 그가 얼마나 대단한 사람인줄도 모르고 있었다. 수강료가 비싸서 부모님의 반대로 배우지 못했지만 이 스튜디오에서 정말 음악을 배웠으면 어떻게 됐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전학간 후 이 친구와는 연락처가 없어서 영영 볼 수 없게 되었지만, 내게는 부모님을 졸라서 생긴 국산 Axtech 연습용 기타와 낙원상가에 혼자 가서 처음 구입한 중고 보스 메탈존이 있었다. 기타는 전학가기 전 동네의 열심히 다니던 교회에서 잠시 배웠지만 가르치는 교회 형이 의욕을 잃는 바람에 오래 배울 수 없었다. 다른 파트들은 집에 있었던 좀 고장난 영창 K2000 건반으로 멀티트랙 레코딩이 가능한 사운드 에디터인 Cool Edit Pro에 녹음했다. 보컬은 헤드폰이 달린 PC방 마이크로 녹음했는데, 그곳에다 소리를 지르면 묘한 클리핑이 생겨서 디스토션처럼 재미있는 효과가 생겼었다.

첫 앨범은 2001년 초겨울부터 녹음했다. 소설 <태백산맥>이 가사의 레퍼런스였고 버줌Burzum, 서모닝Summoning, 새드레젼드Sad Legend 등을 염두에 두고 만들었다. 정확히 어디서 영향을 받았는지 기억이 잘 안 나지만 어쨌든 '한국적'인 블랙메탈을 만들려는 시도를 했었던 것 같다. 그 때는 그런 시도가 사회적 분위기로나 밴드와 리스너들 사이에서 애국심의 일종으로 당연하게 여겨졌었기 때문일 것이다. '한국적'인 블랙메탈은 몇 년 전 까지만 해도 좀 창피하게 여겨져서 그만뒀지만 이제 와서는 잘 선택했다는 생각이 든다. 애국심 같은 이유는 아니고 블랙메탈이라는 장르가 지역적인 특성을 잘 섞으면 괜찮게 들릴 수 있기 때문이다. 

기타가 들어가지 않는 4번 트랙인 '흉가에 얽힌 이야기 part 3' 을 가장 처음에 녹음했다. 그 뒤 '노인의 노래' '흉가의 끝' 등의 순서로 녹음했다. 셀러론 CPU 컴퓨터가 있었는데 음악 제작용 컴퓨터가 아니라서 느렸지만 속도가 문제될 정도는 아니었다. 다만 거실에 있었기 때문에 보컬은 집에 아무도 없을 때 녹음해야만 했다. 내가 보컬을 녹음할 때 이불을 뒤집어썼다는 이야기를 봤는데 이불은 방음에 별 효과도 없기 때문에 그건 사실이 아니고, 나레이션을 속삭이는 파트를 녹음하다 엄마 목소리가 들어간 트랙이 있기는 하다. 

폐허라는 이름은 일제 강점기 동명의 잡지에서 따왔지만 잡지에 관해서는 잘 몰랐고 그냥 어감이 좋았다. 처음부터 앨범을 작정하고 만든 것은 아니었고, 앨범이라고 생각하지도 않았기 때문에 흉가라는 앨범 제목도 나중에 지었다. 시험 삼아 몇 곡을 먼저 녹음한 뒤, 가장 먼저 업로드한 프리챌의 어느 메탈 커뮤니티에서 반응이 나쁘지 않아서 그럼 끝까지 해봐도 되겠다 싶었다. 

이맘때에 공연도 보러 다니기 시작했다. 아마 처음으로 본 공연은 주신레코드에서 주관하는 2001년의 트렌드킬 페스티벌이었고, 거기서 새드 레전드와 오딘을 처음 봤다. 음악 씬의 뒷얘기야 어떻든 간에 그들은 진심이었으며 음악과 공연에 오랫동안 공들인 티가 났다. 시끄럽고 강렬해서 세상에 이보다 더 재미있는 것이 있을까 싶었다. 신촌 쪽의 공연장인 것으로 기억하지만 아무튼 꽤 오래 전의 일이라서 검색해도 포스터고 공연 정보고 나오지 않는다. 

CDR로 데모를 만들어서 레코드점에 직접 갖다주거나 공연장이나 음감회에서 본 사람들에게 나눠줬다. 주로 프리챌과 다음까페의 메탈 관련 커뮤니티를 통해 알게 된 사람들이었다. 공연장에서 알게 된 Y라는 친구가 지금의 홍대 걷고싶은거리에 있었던 M레코드라는 곳에 소개했고, 앨범을 내주겠다는 연락을 받았다. M레코드를 찾아간 것이 여름이었으니 2002년 여름방학 즈음이었다.